안녕하세요 dbsb입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매도하는 경우
당일에 전출신고를 하게 되는데요.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게 되는 곳이
가족, 친척 집인데요
가족이 거주하는 곳으로 전입이 어려운경우
지인 또는 친구의 집으로 전입을 고민하게 됩니다.
전입신고
동거인 전입신고 방법을 얘기하기 전에
우선 전입신고에 대해 혹시나 잘 모르고 계시는 분들이 있을까 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넘어가겠습니다.
전입신고'는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의 전원 또는 그 일부가 새로운 거주지로 이동한 경우에 그 전입한 거주지의 시·군·구에 전입사실을 알려서 주민등록을 내용을 정정하는 것을 말한다. 신고의무자는 새로운 거주지에 전입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신거주지의 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전입신고를 해야 한다.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전입신고는 하나의 세대에 속하는 자가 전입한 거주지의 시/군/구에 전입사실을 알려
주민등록 내용을 정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거주지를 이동하는 경우 14일 이내에 주소지 변경 및 등록을 위한 전입사실을 알려야 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방법
일반적으로 전입신고는 동사무소 또는 온라인에서 진행합니다.
동사무소는 방문하면 직원분께 친절히(?) 설명을 들을 수 있으니
따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
온라인 전입신고는 정부24에서 진행하며
네이버에서 검색하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조금 하단으로 내려가보면
아래처럼 민원신청하기 메뉴가 있습니다.
쉽게 아래에 링크를 첨부해 봅니다.
https://www.gov.kr/main?a=AA020InfoCappViewApp&HighCtgCD=A01010&CappBizCD=13100000016
전입신고 | 민원안내 및 신청 |정부24
전입신고 정보 신청방법, 처리기간, 수수료, 신청서, 구비서류, 신청자격 정보 제공 신청방법 인터넷, 방문 수수료 수수료 없음 신청서 전입신고서(세대 모두 이동), 전입(세대 일부 이동,편입,합
www.gov.kr
들어가서 신청하기 버튼을 눌러줍니다.
회원 / 비회원 모두 신청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인증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저는 간편인증(카카오, 토스 등) 을 주로 사용합니다.
인증을 완료하고 전입신고 메뉴로 들어가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세대주 확인이 필요한 경우
1. 세대주가 변경되는경우
2. 세대주를 포함하여 이사를 가는데 신청을 세대원이 하는경우
3. 이사가는 곳에 세대주가 있는경우
세대주가 거주하는 곳에 세대원으로서 전입을 하려면
세대주 확인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몇 가지 체크 후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전입하는 사유는 상황에 맞춰서 체크해 주시면 됩니다.
전입신고 2단계 입니다.
이전에 살던 곳을 입력하고, 다음 3단계로 넘어갑니다.
이사갈 지역을 입력합니다.
일반적인 아파트라면 다가구 주택여부
아니오 를 선택합니다.
동거인으로 전입을 하는 경우라면
"이사온 곳에 기존에 살고 있는 세대주가 있는경우" 를 체크합니다.
전입하려는 지역의 세대 주 정보를 입력합니다.
세대주로 등록되어 있는 친구 / 지인 / 가족의 정보를 입력합니다.
세대주와의 관계를 선택해야 합니다.
동거인을 선택해 줍니다.
이제 민원신청하시고 슥슥 넘어가시면 전입신청이 완료됩니다.
신청을 완료하신 뒤
MyGOV > 서비스 신청내역
으로 이동하여 현재 처리상태를 확인합니다.
처리상태 정보는 사이트에 상세하게 나와있습니다.
이때 해야할 일은,
전입할 곳의 세대주에게 연락해서
정부24에서 확인을 요청합니다.
세대주 확인방법
정부24 > 서비스 > 사실/진위확인 > 세대주 확인
에서 진행합니다.
세대주가 확인하면 "신청완료" 상태로 변경됩니다.
그리고 처리기관에서 담당자 처리를 완료하면
"처리완료" 상태로 변경 됩니다.
이제 끝!
주민등록초본을 떼어 보면
본인의 주소가 새로운 주소지로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dbsb.